전체 글360 세련된 이익추구 구기 종목 중 축구는 대표적인 단체 경기이다. 11명의 선수가 팀워크를 갖추어 상대편과 시합을 한다. 축구에서 가장 어려운 기술은 패스이다. 처음 축구를 시작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무조건 1:1 돌파를 하려는 경향이 있다. 1:1 대결은 팀플레이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스럽지 못하며 어쩔 .. 2020. 2. 7. 마지막 호랑이의 죽음 사회체제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는 선생님이나 학교는 아이들이 수직적인 사회체제에 잘 적응하도록 만드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그들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. 그들에게 아이들의 입장을 고려해서 보다 자유롭고 인간적으로 대해 줄 것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. 선생님들 중 일부는 예외일 수도 있지만 이들이 학교 조직이 추구하는 방향을 바꿀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. 그래서 학교나 선생님은 고정변수로 봐야 한다. 인터넷의 발달로 아이들은 어른들의 모순이나 비리를 이미 잘 알고 있다. 일부 아이들이 사회를 비판하는 것을 보면 지식인들과 수준차이가 별로 나지 않는다. 지식인들의 수준이 고등학생 수준에서 멈추어서인지 아니면 아이들이 과외를 많이 받아 똑똑해 져서 수준이 올라 간 것인지 구분하기 어렵지만 사회체제 변화를 .. 2020. 2. 7. 축 '계급사회로의 진입' 스무 살이 되기 전까지 아이들이 가지는 인간관계는 가족, 친구, 선후배, 선생님 정도이다. 아이들이 맺는 첫 번째 인간관계는 가족이다. 아이들이 자라면서 친구가 생기고 새로운 것을 가르쳐 주시는 선생님을 알게 된다. 대부분의 아이들은 초등학교 때까지 주변의 도움을 받으며 자라.. 2020. 2. 7. 그 아버지에 그 아들 2002년 부패방지위원회(현재 국가청렴위원회)에서 전국의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결과를 보면 설문대상자의 90% 이상이 한국사회가 부패해 있다고 대답했다. 아이들은 어른들이 만든 세상을 극도로 싫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하지만 어른들은 아이들이 이런 사회에 잘 적응하기를 바라고 있다. 비록 어른들의 세상이 부패로 가득 차 있지만 그들의 아이들은 사회라는 테두리 속에서 안정적으로 살기를 갈망한다. 어른들은 조직에 저항하고 체제에 저항하던 사람들의 운명이 어떻게 되었는지를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아무 생각하지 말고 공부만 열심히 하라고 말한다. 아이들의 90% 이상이 불신하는 그 부패의 소용돌이를 향해서 오늘도 아이들은 새벽 별을 보면서 무표정하게 행진하고 있다. 행진할 때마다 그들이 싫어하는 .. 2020. 2. 7. 나비 한 마리 ‘중국의 북경에서 나비가 날개 짓을 하면 한 달 후 뉴욕에서 폭풍이 분다’라는 개념이 나비효과이다. 이 나비효과는 물리학에서 말하는 카오스 이론의 토대이다. 날개 짓 하는 모든 나비가 폭풍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고 특정 시간과 장소에 있던 한 마리의 나비가 우연치 않게 폭풍을 .. 2020. 2. 7. 요술피리 옛날 유럽의 어느 도시에 셀 수 없이 많은 쥐들이 들끓었어요. 쥐들은 지하실과 곡식 창고 안에 살면서 곡식들을 모조리 먹어버렸어요. 사람들은 고양이를 사고, 쥐덫을 놓으며 쥐약도 뿌렸지만, 소용이 없었어요. 도시의 지도자들이 모여 회의를 했지만 쥐들을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찾지 .. 2020. 2. 7. 이전 1 ··· 55 56 57 58 59 60 다음